AI 에이전트를 한동안 미친 듯이 활용해서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느낀 점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바이브 코딩"이라는 말이 AI 에이전트 개발에 대한 환상을 심어주는 것 같아요.
마치 분위기 좋게 코딩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AI 에이전트를 이용한 코딩, 줄여서 AI 코딩이라고 할게요.
유튜브나 다른 곳에서 AI에게 프롬프트를 입력해서 홈페이지를 만들어 달라고 하면 정말 그럴듯한 결과물이 나오죠.
로그인 기능까지 추가해 달라고 하면 뚝딱 만들어주고요.
하지만 명령어로 뚝딱 만들어지는 건 딱 거기까지입니다.
정말 내가 원하는 구조와 흐름을 가진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프롬프팅만으로는 절대 불가능해요.
왜냐하면 AI 에이전트가 추론, 즉 추측을 기반으로 뭔가를 만들기 시작하면 이야기가 산으로 갑니다.
만들던 시스템이 갑자기 엉망이 되어버리는 거죠.
그래서 AI 코딩에서는 기획이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전반적인 시스템 흐름을 꼼꼼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그 후에 세부적인 요소들을 잘 정리해야 중간에 꼬이는 상황을 막을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AI가 추측하지 않도록 명확하게 지시하는 거예요.
그러려면 프롬프팅 양이 많아지고 개발에 대한 상세한 문서가 필수적이죠.
개발에 대한 문서를 PRD 문서라고 하는데, 이게 바로 우리가 흔히 아는 "요구사항 정의서"입니다.
하지만 "요구사항 정의서만"으로도 여전히 AI가 추측할 여지가 많습니다.
문서에 최대한 구체적으로 명시해서 AI가 헤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결국 AI 코딩은 명확한 기획과 상세한 문서 작업이 뒷받침되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요즘 세미나, 또는 강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정작 환상만 심어주고 있는것 아닌가 걱정스럽기도 합니다.
추가 : AI코딩을 제대로 파악하신 개발자분은 혼자서 6개 이상 제품을 만들고 있는것을 보았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