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_image
vibecode
25-05-25 02:27 0건 79회
RSS 피드 관리 시스템 + AI 에이전트(크롤링,번역) 기능 만들기

😗좀더 다양한 정보 수집과 공유를 위해 외국사이트의 정보수집 자동화 아이디어를 떠 올렸습니다.

n8n 을 이용하여 AI 에이전트로 번역후 구글 시트에 저장할 계획 이었죠~

cb131b95cd0dff349b9b7a2ca65c7ff2338b0d7a.png561d54e04e8b63237106c7c849146c03fcb273db.png

아하 ~ 이거 생각대로 잘 안되네~

각각의 연동과 방법론을 찾아 가는게 재미는 있지만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 됩니다.




그러다 문득 좀더 색다른 아이디어가 떠 올랐습니다.

n8n 을 쓰지 않고 직접 RSS를 가지고 오는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합니다.


RSS로 가지고 온 컨텐츠를 사이트에 직접 발행하는 방식이죠

클로드를 이용해 만들어 보기 시작합니다.

22806e8c57695d5a06161484f375ca64b0b88195.png중간에 클로드 소넷4 으로 바뀌었는데 확실히 좀더 잘 만들어 주는것 같습니다.

뭐랄까 삼천포로 덜 빠지는 것 같다라고 할까요?




생각보다 빨리 디자인 까지 해 줍니다.
69725b1f1fb9374598bebb2bc4f312eee43aabde.png오호~ 이거 너무 잘 만들어 줬는데~👍

원하는 RSS 를 소스에 포함하고, 등록할 게시판 ID도 소스에 포함 합니다.

그리고 RSS를 불러온 다음 발행 버튼을 눌러 등록할 게시판 ID로 발행을 합니다.

발행한 글은 발행되었다 라고 표시도 됩니다.




그런데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외국 컨텐츠를 가져와 선별후 발행할수 있어야 하는데 번역도 해야 합니다.


필요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1. 여러개의 RSS를 등록할수 있어야 하고
  2. 선택적으로 RSS를 불러 올수 있어야 하고
  3. RSS로 가지고 온 내용이 전체 내용이 아니라 요약된 내용인데 나는 전체 내용이 필요함
  4. 전체 내용은 크롤링이 아니라 AI 를 이용해서 내용을 가지고 오는데 영문인 경우 번역해서 가지고 옴
  5. 번역해서 가지고 온 내용은 에디터에서 수정과 정리 과정을 거쳐 발행할수 있어야 함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ui/ux 는 직접 만들기로 합니다.

대략 이런 형태 입니다.

2a0c95fb48076c761f8960797195b8e20e3365ac.png형태를 잡고 코드를 만들기 시작하는데

우선 일전에 만든 기능에서 부터 커스텀 하기 시작합니다.


프롬프팅 해 가면서 하나씩 만들어 봅니다.

  • 소스코드에 여러게의 RSS 카테고리를 넣을수 있게 해주고  RADIO 버튼으로 한개만 선택할수 있게 만들어줘
  • RSS 가져오기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카테고리의 RSS 내용을 가지고 와서 목록으로 만들어줘
  • 목록에는 AI번역/요약 버튼을 넣어주고 제미나이 API를 이용해 원문 링크로 가서 컨텐츠를 가지고 오는데 외국어 일경우 번역한 내용을 가지고 와주고 번역한 내용은 에디터에 들어갈수 있게 해줘
  • 발행하기 버튼을 누르면 특정 게시판으로 게시글을 발행할수 있게 만들어줘


pro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클로드가 사용량이 다 되면 몇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더 상위로 올라가야 한다는 말인가?

그래도 시간이 다되면 다시 만들고 반복하면서 결국은 완성을 했습니다.

a487d15ced9e84ae27a27a7468068c19a03d7291.png

만들면서 느끼는건 AI 에이전트가 잘못 만들어 주면 올바로 작업할수 있게 가이드를 잘 해야 합니다.

표현을 하자면 맥을 잘 집어서 삼천포로 빠지지 않게 해 줘야 하는데 프로그래밍을 아얘 모르면 이 맥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UI/UX 를 하는 입장에서 보면 삼천포로 빠지지 않게 개발자분들 보다는 가이드가 잘 안되다 보니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AI 에이전트도 삼천포로 빠져서 하는일도 모두 토큰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비용을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프로그래밍이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RSS AUTO POST 기능 만들기 프로젝트를 하면서 가능할까? 했지만 구현 되었습니다.

스마트한 도구들이 계속 발전하기 때문에 좀더 쉬워질꺼라 생각합니다.

추천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AI 개발 이야기

Total 7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