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더 다양한 정보 수집과 공유를 위해 외국사이트의 정보수집 자동화 아이디어를 떠 올렸습니다.
n8n 을 이용하여 AI 에이전트로 번역후 구글 시트에 저장할 계획 이었죠~
아하 ~ 이거 생각대로 잘 안되네~
각각의 연동과 방법론을 찾아 가는게 재미는 있지만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 됩니다.
그러다 문득 좀더 색다른 아이디어가 떠 올랐습니다.
n8n 을 쓰지 않고 직접 RSS를 가지고 오는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합니다.
RSS로 가지고 온 컨텐츠를 사이트에 직접 발행하는 방식이죠
클로드를 이용해 만들어 보기 시작합니다.
중간에 클로드 소넷4 으로 바뀌었는데 확실히 좀더 잘 만들어 주는것 같습니다.
뭐랄까 삼천포로 덜 빠지는 것 같다라고 할까요?
생각보다 빨리 디자인 까지 해 줍니다.오호~ 이거 너무 잘 만들어 줬는데~👍
원하는 RSS 를 소스에 포함하고, 등록할 게시판 ID도 소스에 포함 합니다.
그리고 RSS를 불러온 다음 발행 버튼을 눌러 등록할 게시판 ID로 발행을 합니다.
발행한 글은 발행되었다 라고 표시도 됩니다.
그런데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외국 컨텐츠를 가져와 선별후 발행할수 있어야 하는데 번역도 해야 합니다.
필요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ui/ux 는 직접 만들기로 합니다.
대략 이런 형태 입니다.
우선 일전에 만든 기능에서 부터 커스텀 하기 시작합니다.
프롬프팅 해 가면서 하나씩 만들어 봅니다.
pro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클로드가 사용량이 다 되면 몇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더 상위로 올라가야 한다는 말인가?
그래도 시간이 다되면 다시 만들고 반복하면서 결국은 완성을 했습니다.
만들면서 느끼는건 AI 에이전트가 잘못 만들어 주면 올바로 작업할수 있게 가이드를 잘 해야 합니다.
표현을 하자면 맥을 잘 집어서 삼천포로 빠지지 않게 해 줘야 하는데 프로그래밍을 아얘 모르면 이 맥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UI/UX 를 하는 입장에서 보면 삼천포로 빠지지 않게 개발자분들 보다는 가이드가 잘 안되다 보니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AI 에이전트도 삼천포로 빠져서 하는일도 모두 토큰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비용을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프로그래밍이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RSS AUTO POST 기능 만들기 프로젝트를 하면서 가능할까? 했지만 구현 되었습니다.
스마트한 도구들이 계속 발전하기 때문에 좀더 쉬워질꺼라 생각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