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개발자인 IT 기획자입니다. 최근 1인 프로젝트로 모바일 게임을 개발해보았고, AI 도구들을 중심으로 어떤 식으로 작업이 진행됐는지 기록 차 공유해봅니다. 한달반정도 열심히 달린 것 같은데, 해당 기록을 어딘가에는 남기고 싶어 고민중에 지인 추천으로 이곳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배경]
- 개발 경험 없음 (코딩, 그래픽 모두 처음)
- 다만 평소 기획 업무는 경험 있음
- AI 도구를 적극 활용하면 1인 개발이 가능할지 테스트해보고자 시작
- (지인이 커서를 활용하여 10분도 안되서 테트리스를 개발하는 것을 보고 시작해보았습니다)
- 요즘 AI 기반 개발 흐름이 워낙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단순한 흥미 이상의 실험적 접근을 해보고 싶었습니다. 특히 모바일 플랫폼에서 소울라이크 전투 감성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도 도전 과제였습니다.
- 캐주얼 소울라이크 액션 게임
- 불필요한 파밍/잡몹 생략 → 보스전 중심 구조
- 조작: 공격 / 방어 / 회피 / 패링 중심 (모바일 세로뷰 기반)
- ChatGPT (4o): 전투 시스템 설계, 프롬프트 다듬기, 이미지 프롬프트 작성, 대사/세계관 정리
- Claude 3.7 → 4.0: 코드 작성, 구조 설계 보조
- Cursor + Claude 조합: 실시간 코딩/디버깅 대응, IDE처럼 활용
느낀 점: "AI는 잘 시켜야 잘한다" 단순 요청은 효과가 낮고, 프롬프트 설계가 반 이상 작업 단위를 세분화하고 맥락 유지가 중요 예: 시스템 설계 시: “넌 전투 시스템 기획자야. 세로뷰 액션 RPG 구조를 설계해줘.” 코드 요청 시: “공격 버튼 → 기본공격, 차지 버튼 → 기 모아서 강공격, 스태미너 없으면 동작 불가” 등 ***
AI의 환상적인 결과물 뒤에는 수십 번의 반복과 조정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 프롬프트 설계 능력이 핵심 기술임을 실감했습니다. [이미지 작업]
- 캐릭터, 몬스터, UI 아이콘, 배경 모두 AI 이미지 생성으로 처리
- GPT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을 활용하여 수십 컷 단위로 생성 → 후처리 편집 (간단하게 파워포인트 활용) → 이미지를 스프라이트로 연속 재생하여 애니메이션 구성
- 처음엔 클라이언트 중심으로 개발했으나, 백엔드는 supabase를 연동하였음.
- 구글 OAuth와 supabase 백엔드 연동의 경우에는 챗GPT + 커서(클로드) 조합으로 도움을 받아서 진행하였음 (챗GPT와 클로드가 알려주는대로 하나하나 따라가면서 작업하여 현재는 백엔드 연동이 모두 완료된 상태)
- 가끔 잘못된 정보를 줄때도 있어서, 이 경우에는 AI 끼리 서로 정보에 대한 교차검증을 하여 진행함
- 약 1.5개월 경과, 론칭 버전 개발 완료
- 구글 플레이 사전등록 진행 중
- 테스트 배포도 병행, 이달 내 정식 출시 목표
***
😍 와\~ 대단한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