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오늘 0 이달 1 전체 43
날씨 정보 불러오는 중...

미디어 로그

Total 9
Today 0
profile_image
제이크
25-05-10 22:27 1건 48회
"인간 퇴화의 시작. 우리의 지능을 훔쳐가는 AI"ㅣAGI 시대를 지배하는 자와 노예가 되는 자의 차이점
요약 : GOOGLE GEMINI 2.0 카이스트 맹성현 명예교수님의 인터뷰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에 대한 깊은 고민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AI가 너무 쉽게 답을 제시하면서 인간의 깊이 있는 사고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경고는 뇌리에 깊이 박혔습니다. 마치 늑대에서 진화한 개처럼, 인간 스스로가 AI에 의존하며 스스로를 '가축화'시켜 지능이 퇴화할 수 있다는 비판은 충격적이었습니다. 😱 현재 AI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AGI(범용 인공지능)는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음악 AI 'Suno'처럼 창작 영역까지 AI가 넘보면서 저작권 문제 등 복잡한 사회적 문제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 AI 시대에 인간의 역할을 찾기 위해서는 AI를 이해하는 것만큼이나 인간 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지능은 단순히 문제 해결 능력을 넘어 다양한 능력을 포함하며, 우리나라 교육이 AI가 잘하는 논리/수리 지능에만 치우쳐 있다는 지적은 곱십어볼 만합니다. 지금 당장은 AI가 따라올 수 없는 인간 고유의 능력, 예를 들어 실제 경험을 통한 학습, 진정한 감정, 자기 성찰, 상식 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맹성현 교수님은 현재 AI 발전 방향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제시했습니다. 생산성 향상에만 집중한 나머지 사회적 파장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는 점, 그리고 더 이상 인간과 구별되지 않는 AI를 만드는 것을 멈춰야 한다는 주장은 깊은 울림을 줍니다. 딥페이크 같은 악용 사례를 막기 위해 AI가 만든 결과물은 인간이 만든 것과 구별될 수 있도록 발전 방향을 바꿔야 한다는 제안은 매우 현실적인 대안으로 느껴졌습니다. 💯 궁극적으로 안전하고, 믿을 수 있으며, 윤리적인 AI를 통해 인간과 평화롭게 공존하는 미래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입니다. 🤝 결론적으로, AI는 우리 삶을 편리하게 해줄 수 있지만, 인간 지능 퇴화라는 위험도 안고 있습니다. 우리는 AI의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인간 고유의 능력을 계발하는 동시에, AI 개발 목표를 재검토하고 안전하고 윤리적인 AI를 추구해야 합니다. AI와 인간이 공존하는 미래를 위해 지금부터 고민하고 준비해야 할 시점입니다. 🚀
추천 0

댓글목록

제이크님의 댓글

profile_image
제이크 작성일

보고서 , 사업계획서를 chatGPT 에게 도움받은 이후로 chatGPT 없으면
아무것도 못할것 같은 느낌 까지 듭니다. 교수님 의견에 매우 동감 합니다.

직장인 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